으로 끝나는 네 글자의 단어: 8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0개 세 글자:53개 🍍네 글자: 83개 다섯 글자:22개 여섯 글자 이상:25개 모든 글자:314개

  • 입춘 서 : (1)입춘에 벽이나 문짝, 문지방 따위에 써 붙이는 글.
  • 어휘수 : (1)‘단어장’의 북한어.
  • 대역 중 : (1)주파수 범위의 일부로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의 공통된 부분.
  • 비망수 : (1)잊지 않으려고 중요한 골자를 적어 두는 수첩.
  • 대산어 : (1)조선 세조 10년(1464)에 상원사를 중창할 때에 쓴 권선문. 세조가 내린 글과 세조의 왕사 신미(信尾), 학승인 학열(學悅)ㆍ학조(學祖)가 쓴 글로 구성된 2첩이다.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에 보관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평창 상원사 중창 권선문’이다.
  • 팔로장 : (1)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올라오는 장계와 공문서를 아울러 이르던 말.
  • 취재 수 : (1)기자들이 취재 내용을 적기 위해 가지고 다니는 수첩.
  • 모자 수 : (1)산모가 임신을 한 뒤 받아야 할 검사나 태아의 발육 상태 따위가 일정에 따라 안내되어 있으며, 태아의 발육 상태 및 출산ㆍ육아 따위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첩.
  • 등글개 : (1)등의 가려운 곳을 긁어 주는 첩이라는 뜻으로, 늙은이가 데리고 사는 젊은 첩을 이르는 말.
  • 최후통 : (1)마지막으로 상대에게 문서로 알림. (2)분쟁 당사국 가운데 한 국가가 국가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를 단절하고, 최종적인 요구를 제시하여 일정한 기한 안에 그것이 수락되지 않으면 실력 행사를 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일. 또는 그 뜻을 적은 외교 문서.
  • 양육 수 : (1)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수첩.
  • 나비경 : (1)나비 모양으로 된 경첩.
  • 아기 수 : (1)아기를 양육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수첩.
  • 노리개 : (1)노리개처럼 데리고 노는 젊은 첩.
  • 선원보 : (1)조선의 왕실 및 그 일족(一族)의 보첩.
  • 금오계 : (1)정선이 그린 시화첩(詩畫帖). 영조 18년(1742)에 의금부 관헌들의 계회 장면과 참석자들의 시문(詩文)을 모은 것이다. 조선 초ㆍ중기의 기록화적인 계회도나 의궤와는 달리, 감상화적인 성향을 짙게 띠고 있다. 67세 무렵 정선의 실경 산수화풍의 특색과 함께, 조선 후기 계회도의 변모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플랩 경 : (1)수평면이 개폐의 축이 되고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열리는 플랩 도어에 사용하는 경첩.
  • 알파 경 : (1)헬리콥터 날개의 뿌리 부분에서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있는 경첩.
  • 무장간 : (1)전투에 필요한 장비를 갖춘 간첩.
  • 외간작 : (1)자기 집 이외의 다른 곳에서 첩을 얻음.
  • 결어중 : (1)시행의 끝마디에서 같은 말을 되풀이하여 운율을 조성하는 표현 수법.
  • 드롭 경 : (1)열고 닫는 축이 수평면이고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열리는 드롭 도어에 사용하는 경첩.
  • 군인 수 : (1)군에서 발행하여 군인 각자에게 지급하는 수첩. 군인의 신분증명서와 같은 구실을 하기도 한다.
  • 육아 수 : (1)어린아이를 기르면서, 아이의 발달 과정이나 특이 사항 따위를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든 수첩. 육아 정보 및 상식이 실려 있기도 한다.
  • 자유 정 : (1)안이나 밖에서 열면 저절로 접히는 정첩.
  • 황산 대 : (1)고려 우왕 6년(1380)에 이성계가 삼도(三道) 도순찰사(都巡察使)로서 전라북도 남원시 황산에서 왜구를 쳐부순 싸움. 조선 선조 10년(1577)에 그 대첩비를 세웠다.
  • 기사계 : (1)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 여자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책. 숙종 45년(1719)에 열린 기로소의 모임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하였다. 왕의 시문, 참석 명단, 행사 장면, 초상, 축시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숙종 46년(1720)에 12권이 완성되었는데, 한 권은 기로소에 보관하고 나머지는 참석자들이 각자 소유하였다. 보물 제638호.
  • 노량 대 : (1)조선 선조 31년(1598)에 노량 앞바다에서 이순신이 왜병과 대결한 마지막 해전. 이 해전에서 이순신은 명나라 장군 진린(陳璘)과 더불어 싸웠으며, 승리와 함께 전사하였다.
  • 정식 통 : (1)정식 절차에 의하여 서면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일. 또는 그런 문서.
  • 남해 대 : (1)고려 우왕 9년(1383)에 정지가 남해 관음포(觀音浦) 앞바다에서 왜구를 상대로 크게 승리한 전투. 화포를 이용해 왜구의 대선 17척을 완파하고 2천여 명을 전사시켰다.
  • 세량유 : (1)조선 시대에, 세금으로 거둔 양곡의 내역을 기록한 장부.
  • 연안 대 : (1)임진왜란 때인 1592년 8월 말에서 9월 초에 걸쳐 황해도의 연안성에서 왜병을 물리친 전투.
  • 치탈도 : (1)승려가 삼보(三寶)에 대하여 불경죄를 지었을 때 그의 도첩을 빼앗는 일.
  • 자유 경 : (1)스프링이 붙어 있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경첩.
  • 행문이 : (1)관청에서 문서를 발송하여 조회(照會)함.
  • 경찰수 : (1)경찰관이 근무상의 사항을 적기 위하여 가지고 다니는 수첩.
  • 감정 중 : (1)기질적인 어떤 현상에 감정적인 것이 겹치는 상태.
  • 풍속화 : (1)풍속화를 모아 엮은 책.
  • 산모 수 : (1)산모가 임신을 한 뒤 받아야 할 검사나 태아의 발육 상태 따위가 일정에 따라 안내되어 있으며, 태아의 발육 상태 및 출산ㆍ육아 따위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첩.
  • 교무 수 : (1)교사가 교무와 관련된 사항을 적기 위하여 가지고 다니는 수첩.
  • 의명 통 : (1)행정 보조 기관이 기관장의 명에 따라 하급 관청에 내리는 명령.
  • 고용간 : (1)제국주의자들에게 매수되어 활동하는 간첩.
  • 전고처 : (1)돈을 빌리면서 기한을 정해 자신의 아내나 첩을 담보로 넘겨주던 일.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행위를 한 자에 대해 ≪대명률≫에 따라 처벌하도록 하였다.
  • 이중간 : (1)두 편의 간첩 노릇을 겸하여 하는 자.
  • 야전 수 : (1)전쟁 때 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것을 기록할 수 있는 군인들의 수첩.
  • 노동 수 : (1)나치 시대 독일에서 노동자들이 소지했던 수첩. 노동자들은 이것을 통해 등록되고 통제받았다. 나치는 노동자들의 순종을 강요했고, 직업이나 공장을 바꾸는 것도 허용하지 않았다.
  • 명량 대 : (1)조선 선조 30년(1597)에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명량에서 왜선(倭船)을 쳐부순 싸움. 10여 척의 전선(戰船)으로 적 함대 133척을 맞아 싸워 적국의 배 31척을 격파하여 크게 이겼다.
  • 국조어 : (1)대한 제국 말기에 편찬된 조선 왕실의 족보첩. 내용은 간략하나 조선 왕조의 세계(世系)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게 서술되어 있다.
  • 순화각 : (1)중국 송나라 태종 17년(992)에 편찬한 법첩(法帖). 내부(內府)에 소장되어 있던 역대 명필가의 문장을 골라서 이름난 필적(筆跡)을 한림 대서 왕저(王著)에게 명하여 새긴 것이다. 10권.
  • 북관 대 : (1)임진왜란 때 북평사(北評事) 정문부가 경성의 선비 이붕수(李鵬壽) 등 수백 명의 의병과 함께 함경북도 길주군의 쌍포(雙浦)와 함경남도의 단천(端川) 등지에서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를 격파하여, 함경도 지역에서 왜군을 몰아낸 싸움.
  • 보주 정 : (1)핀의 머리 부분에 구슬 모양의 장식품인 보주 또는 가락지가 있는 정첩. 핀을 쉽게 뺄 수 있어 문짝을 달고 떼기에 편리하므로, 건물 내부의 출입문용으로 많이 쓰인다. 외부용은 불가하다.
  • 단원화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 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의 화첩. 정조 20년(1796)에 만든 것이다. 산수화와 풍속화 따위를 10면씩 1첩으로 하고 2첩을 한 갑에 넣어 1면씩 열어 볼 수 있게 하였다. 보물 정식 명칭은 ‘김홍도필 병진년 화첩’이다.
  • 호강작 : (1)호강으로 첩을 얻음. 또는 그 첩.
  • 연전연 : (1)싸울 때마다 계속하여 이김.
  • 화방작 : (1)기생을 첩(妾)으로 삼음.
  • 살수 대 : (1)고구려 영양왕 23년(612)에 고구려와 중국 수나라가 살수에서 벌인 큰 싸움. 수나라의 양제가 고구려를 정복하려고 200만의 대군을 인솔하고 쳐들어왔으나, 을지문덕 장군이 지휘한 고구려 군사가 살수를 건너온 수나라의 별동대 30만 5000여 명을 몰살하였다.
  • 명부 작 : (1)조선 시대에, 외명부와 내명부의 여인들에게 작위를 내리던 일. 또는 그 증명서.
  • 한산 대 : (1)조선 선조 25년(1592)에 한산도 앞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왜군과 싸워 크게 이긴 일. 임란 삼대첩의 하나로, 일본의 함선 47척을 격침하고 12척을 나포하였다.
  • 로력수 : (1)협동농장에서, 농장원들이 번 노력 공수를 적어 두는 법적 증거 서류. 사회주의적 분배를 정확히 하고 농장원들의 생산 의욕을 높이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한다. ⇒남한 규범 표기는 ‘노력수첩’이다.
  • 수문 경 : (1)갑거 수문의 뒷기둥을 지탱하기 위한, 위 표면에 구멍이 뚫린 오목한 구조물.
  • 고정간 : (1)이동하거나 교체되지 아니하고 일정한 곳에 붙박여 임무를 수행하는 간첩.
  • 행주 대 : (1)조선 선조 26년(1593)에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크게 물리친 싸움. 임란 삼대첩의 하나이다.
  • 선원수 : (1)선원의 신분을 증명하는 수첩. 성명ㆍ본적ㆍ생년월일ㆍ이력ㆍ승무 선박ㆍ고용 계약 내용 따위를 적고 사진을 붙인 것으로, 배를 타고 있는 중에는 선장이 보관한다.
  • 무사타 : (1)아무 사고 없이 무사히 잘 끝남.
  • 귀주 대 : (1)고려 현종 10년(1019)에 침입한 거란군을 이듬해 2월에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귀주에서 크게 무찌른 싸움.
  • 파란중 : (1)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 여러 가지 곤란이나 시련이 많음.
  • 전자수 : (1)수치 연산 외에 전화번호, 주소, 스케줄 따위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첩 크기의 휴대용 컴퓨터.
  • 구주 대 : (1)고려 현종 10년(1019)에 침입한 거란군을 이듬해 2월에 강감찬이 이끄는 고려군이 귀주에서 크게 무찌른 싸움. ⇒규범 표기는 ‘귀주 대첩’이다.
  • 홍산 대 : (1)고려 우왕 2년(1376)에 최영이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싸움.
  • 진주 대 : (1)임진왜란 때에 진주성에서 우리 군사가 왜군과 싸워서 크게 이긴 전투. 임란 삼대첩의 하나로, 선조 25년(1592) 10월 5일부터 10일에 걸쳐 김시민이 지휘하는 3,800명의 진주성 수성군(守城軍)이 왜장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가 거느린 2만 명의 왜군을 물리쳤다.
  • 두어중 : (1)시의 표현 수법 가운데 하나. 시행의 첫머리에 같은 말을 반복함으로써 운율을 조성하는 것이다.
  • 보통 정 : (1)정첩을 접었을 때 너클만이 밖으로 보이는 일반적인 정첩.
  • 숨은 경 : (1)문을 닫았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가구 따위의 여닫이문에 사용하는 경첩.
  • 보수 정 : (1)축 위 끝에 나사로 된 꼭지가 있어서 축을 뽑아낼 수 있게 되어 있어 문짝을 떼기 쉽게 한 정첩.
  • 쾌설당 : (1)중국 청나라의 풍전(馮銓)이 위(魏)나라, 진(晉)나라,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의 명적(名跡)을 새겨 만든 서첩.
  • 삼희당 : (1)중국 청나라 때에, 건륭제의 명에 따라 양시정(梁詩正) 등이 돌에 새긴 사적을 탑본한 서첩(書帖). 왕희지, 왕헌지, 왕순(王珣)의 글씨와 위나라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각 대(代)의 명필의 글씨가 실려 있다. 1747년에 완성되었다. 32첩.
  • 진포 대 : (1)고려 우왕 6년(1380)에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인 진포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쳐 크게 이긴 싸움. 나세(羅世), 최무선 등이 전함을 이끌어 왜선 500여 척을 격파하고 모두 불태워 버렸다.
  • 신부 수 : (1)결혼과 관련하여 신부에게 유용한 정보가 안내되어 있으며, 준비해야 할 것이나 일정 따위를 기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수첩.
  • 로동수 : (1)북한에서, 근로자들이 어떻게 일하였는가를 평가하여 기록한 법적 증거 문건. 노동 경력, 기술 자격, 표창, 휴가 관계 따위가 개인별로 기록된다. ⇒남한 규범 표기는 ‘노동수첩’이다.
  • 염기 중 : (1)디엔에이(DNA)의 이중 나선 구조에서 각 염기쌍이 0.34나노미터(nm) 간격으로 나선의 중심축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배위하고 염기쌍의 다층성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
  • 권리 중 : (1)하나의 사실 관계가 여러 개의 권리 규정에 해당함으로써 여러 개의 권리를 발생시키는 일.
  • 중중첩 : (1)여러 겹으로 겹쳐 있는 모양.
  • 국조보 : (1)조선 태조 때부터 영조 때의 효장 세자까지 조선 왕족의 세계(世系)를 남녀의 순으로 수록한 책. 헌종 때 펴낸 것으로, 태조 이래의 보첩(譜牒)을 쓰고, 마지막에 헌종 팔고조도(八高祖圖)를 붙여 대왕과 왕비의 존호(尊號), 탄강(誕降), 승하(昇遐), 능침(陵寢) 따위를 적었다. 1책.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첩으로 시작하는 단어 (176개) : 첩, 첩개, 첩경, 첩경하다, 첩 계약, 첩고, 첩구, 첩금, 첩금철, 첩금하다, 첩급, 첩급하다, 첩급히, 첩년, 첩더기, 첩데기, 첩데기살림, 첩데기살이, 첩데기장개, 첩디기, 첩디기살림, 첩디기살이, 첩디기장개, 첩뜨다, 첩련, 첩련하다, 첩령, 첩로, 첩로국, 첩루 ...
첩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7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첩으로 끝나는 네 글자 단어는 8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